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당진시의회 사진영상홍보관

  • 전체메뉴
  • 외부링크
  • 검색
  • 검색
  • 사이트맵
  • 유튜브
  • 인스타그램
  • 블로그
  • 페이스북
  • 글자를 크게
  • 글자를 보통으로
  • 글자를 작게

맨위로 이동


윤명수 의원 5분 발언_당진시 수치료 시설 도입 촉구

질문과답변 |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첨부파일, 본문
윤명수 의원 5분 발언_당진시 수치료 시설 도입 촉구 당진시의회 2020-07-21 조회수 1170
당진시 수치료 시설 도입 촉구

17만 당진시민과 당진시장님을 비롯한 공직자 여러분께 존경의 인사를 올립니다. 발언 기회를 주신 최창용 의장님과 경청해 주시는 동료 의원님들께도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아울러, 오늘 보도를 위해 참석해 주신 언론인 여러분, 정말 감사드립니다. 

안녕하십니까! 당진시 더불어민주당 소속 윤명수 의원입니다.

여러분! ‘수’치료라고 들어 보셨습니까? ‘수’치료란 말이 아직 보편화 되지 않아 낯선 단어로 느껴지실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수’치료는 물의 물리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중추신경계 손상으로 신경학적 문제를 가지고 있는  환자분들의 균형 조절을 돕고 근 긴장도 및 자세조절에 도움을 주어 재활치료 부문에서 아주 각광받고 있는 치료 기법이라고 합니다. 

전국적으로도 재활을 목적으로 하는 ‘수’치료 전문 클리닉이 병원 내 속속 오픈하고 있고 일부 지자체에서도 뇌병변,  척추손상 및 중추신경계 손상 장애인들의 재활치료를 돕고자 지역 복지관에 ‘수’치료실을 마련하여 수중 물리치료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현재 전국적으로 공공기관 내 약 20여개소의‘수’치료실이 운영 중에 있으며, 충남도 내에서는 천안시가 2개의 복지관 내에 ‘수’치료실을 마련하여 운영 중에 있습니다. 

비록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수’치료를 필요로 하는 수요자의 기대에 부응하며 상당히 잘 운영되고 있다고 합니다. 

‘수’치료는 무엇보다도 물이라는 매개를 이용하여 이용자들에게 흥미를 유발하고 지상에서 실행하기 힘든 신체의 움직임을 쉽게 이룰 수 있게 하여 치료 후 재활 경과나 환자의 만족도 측면에서 타 재활치료 보다 상당히 우수하다는 평을 받고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 당진은 어떻습니까? 
우리 당진시의 장애인 인구수는 약 1만여명이며, 이 중 지체·뇌병변 장애인은 전체의 62%인 6,384명, 뇌손상 및 중추신경계 손상 장애인은 761명이나 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시 내에 이들의 재활을 돕기 위한 공공재활 치료소는 당진시 장애인복지관이 유일하며 재활 치료 방법 또한 지난 10여년 전과 거의 대동소이 합니다. 

장애 유형별로 새로운 재활치료 방법과 전문 인력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입니다만, 우리 모두의 무관심속에 장애인  재활치료 시스템은 지금까지도 제자리걸음인 것 같습니다. 

현재 당진시 장애인복지관 내 재활치료를 받고자 대기 중인 인원이 약 70여명이라고 합니다. 

존경하는 당진시장님! 이분들이 재활을 위한 물리치료를 받기까지 얼마의 시간이 소요되는지 알고 계십니까? 평균 1년 6개월에서 2년이란 시간이 소요된다고 합니다. 

우리 장애인 가족들은 이렇게 1년, 2년 대기해야 하는 현실이 너무나도 가슴이 아프고 답답하기만 합니다. 

정작 거동조차 할 수 없는 중증 장애를 안고 한평생을   살아야 하지만 제때 치료조차 받을 수 없는 현실은 재활을 위한 작은 의지마저도 꺾는 듯합니다.    

존경하는 당진시장님! 다양한 장애의 유형 속에 최적의  재활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또한 당진시의 책무입니다.
부디 ‘수’치료를 포함한 질 좋은 재활프로그램을 신속히  도입하여 우리 장애인분들의 재활을 돕고 어려움을 해소하여 주십시오! 

또한, 우리 장애인분들이 적극적인 재활을 통하여 활력을 찾고 보다 나은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분야별 장애인  재활 치료시설 확충을 적극 건의 드립니다. 

여러분! 지난 5분 발언에서도 말씀드렸다시피 우리 모두에게 장애의 경계는 없고 또한 누구도 장애로부터 자유로울 수도 없습니다.  

하물며 장애인에 대한 재활치료 또한 우리가 공동으로  짊어지고 가야하는 우리 모두의 책무라고 생각합니다. 

부디 우리 모두의 관심 속에 장애인 재활 시설의 확충과 질 좋은 프로그램이 신속히 도입되기를 기대하면서 이만 5분 발언을 마치겠습니다.

끝까지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전체 317, 35/4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