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당진시의회 사진영상홍보관

  • 전체메뉴
  • 외부링크
  • 검색
  • 검색
  • 사이트맵
  • 유튜브
  • 인스타그램
  • 블로그
  • 페이스북
  • 글자를 크게
  • 글자를 보통으로
  • 글자를 작게

맨위로 이동


김명진의원 5분발언-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한 기후위기 대책 마련 촉구

질문과답변 |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첨부파일, 본문
김명진의원 5분발언-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한 기후위기 대책 마련 촉구 당진시의회 2021-11-24 조회수 431
존경하는 17만 당진시민 여러분!
최창용 의장님과 선배, 동료의원님 여러분!
그리고 김홍장 시장님을 비롯한 공직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김명진 의원입니다.

지난 11월 11일은 농업인의 날이었습니다. 한 해의 농사를 마치고, 모두가 뜻깊게 기념해야할 날이었으나, 정작 기념일의 주인공인 농민들의 마음은 편하지 못했습니다. 
2년 가까이 지속된 코로나19로 인해 농산물 소비가 위축되고, 판로가 줄어들면서 많은 농가가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입니다.  

더욱 안타까운 사실은 어쩌면 코로나19는 앞으로 다가올 거대한 위기의 서막에 불과할 수도 있다는 점입니다. 
많은 전문가들은 환경·생태계의 파괴로 기후 변화가 지속되는 한 언제든지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의 유행은 물론 상상하기조차 힘든 복잡다단한 위기가 찾아올 것이라고 진단하고 있습니다.
본 의원도 이러한 의견에 적극 동의합니다. 농촌인구의 감소 및 고령화, 농축수산물 시장개방 등 우리 농업농촌이 직면하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가 있습니다만, 그 가운데 가장 거대한 위협은 “기후위기”입니다.

이미 기후위기는 우리 농업에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피해를 주고 있습니다. 
봄에는 저온현상과 냉해로 과수와 농작물에 큰 피해가 생기고, 여름에는 예상치 못한 폭염과 많은 비로 해충과 역병이 나타나 농가를 힘들게 하고 있습니다. 
가을에는 고온다습한 현상이, 겨울에는 이상 고온 현상까지 나타나 농민들의 가슴을 타들어가게 하고 있습니다.

우리 지역도 갈수록 기후위기로 인한 병해충의 발생 빈도와 강도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올해 여름에는 과수화상병이 우리 지역에서 최초로 발생하였고, 미국선녀벌레와 같은 돌발해충도 증가하였습니다. 
또 최근에는 가을장마라고 불릴 정도의 갖은 강우와 고온다습한 이상기후로 인해 배추무름병이 광범위하게 발생하였습니다. 

기후위기가 글로벌 어젠다로 등장한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닙니다. 때문에 사회 각 분야마다 기후변화에 대비하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왔지만, 농업은 다른 분야에 비해 기후변화에 대한 준비와 대응이 미흡한 상황입니다. 

우리시의 경우, 지난해 1월 기후위기 비상사태 선포식을 열고, RE100 산업단지 조성에 나서는 등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지만, 기후위기에 가장 큰 영향을 받을 농업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마스터 플랜조차 없는 실정입니다.

본 의원은 기후위기 시대에 농업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한 당진시 차원의 대책 마련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다음과 같이 제안합니다.

먼저, 저탄소 농업기술을 개발하고 보급하는데 힘써주시기 바랍니다. 기후위기 대응의 핵심은 “탄소 배출의 억제”입니다. 농업도 탄소배출을 최소화한 영농활동으로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기존 농가에서 실천 가능한 저탄소 농업 기술의 개발과 보급에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 드립니다.
두 번째, 변화하는 기후에 알맞은 품종의 개발과 보급, 판로확보를 위한 논의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기온이 따뜻해지면서, 주요 작물의 재배지가 북상하고 있습니다. 안타까운 일이지만 가까운 미래에는 지금 재배하는 작물은 더 이상 우리 지역에서 재배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미리 대체 작물을 보급해 농가의 새로운 소득원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해 주시기 바랍니다.

세 번째, 우리 지역 농업의 기후위기 대응 마스터 플랜을 수립해주시기 바랍니다. 당면한 기후위기는 우리에게 또 다른 기회가 될 수도 있습니다. 
위기를 기회로 만들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계획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 계획에는 중앙정부의 지원 외에 당진시 차원의 기후위기 피해 지원 대책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이를 적극 검토해 주시기 바랍니다.

농업은 기후위기에 가장 취약한 분야입니다. 작금의 기후위기가 우리 먹거리의 위기로 이어지지 않도록, 지금부터라도 구체적인 계획 마련과 지원에 박차를 가해주실 것을 당부드립니다.

세 번째, 우리 지역 농업의 기후위기 대응 마스터 플랜을 수립해주시기 바랍니다. 당면한 기후위기는 우리에게 또 다른 기회가 될 수도 있습니다. 위기를 기회로 만들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계획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 계획에는 중앙정부의 지원 외에 당진시 차원의 기후위기 피해 지원 대책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이를 적극 검토해 주시기 바랍니다.

농업은 기후위기에 가장 취약한 분야입니다. 작금의 기후위기가 우리 먹거리의 위기로 이어지지 않도록, 지금부터라도 구체적인 계획 마련과 지원에 박차를 가해주실 것을 당부드립니다.

이상으로 5분 발언을 마치겠습니다. 

경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전체 317, 20/4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