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당진시의회 DANGJIN CITY COUNCIL

×

당진시의회 DANGJIN CITY COUNCIL

  • 전체메뉴
  • 외부링크
  • 검색
  • 검색
  • 사이트맵
  • 유튜브
  • 인스타그램
  • 블로그
  • 페이스북
  • 글자를 크게
  • 글자를 보통으로
  • 글자를 작게

맨위로 이동


시민을 섬기고 일하며 책임지는 의회

> 의정활동 > 보도자료

당진시의회, 김명진 의원 5분 자유발언

  • 프린터
  • 이전으로
  • 공유하기

보도자료

질문과답변 |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첨부파일, 본문
당진시의회, 김명진 의원 5분 자유발언 당진시의회 2023-03-21 조회수 241

당진형 청년 후계농업인 육성에 적극 나서야 합니다.


 

당진시의회 김명진 의원은 21, 100회 당진시의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당진형 청년 후계농업인 육성에 적극 나서야 합니다>5분 자유발언을 했다.

 

김명진 의원은 20231월 기준, 당진시의 인구는 168,377명으로 시승격 이후 최대 인구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며 당진시민으로서 반가운 소식이라며 기뻐했다.

 

하지만 농촌의 분위기를 보면, 2020년 기준 당진시의 농가 및 농업인구는 2015년 대비 12% 감소했고, 50세 미만의 청년 후계농업인은 절반가량 급감했지만 65세 이상의 고령인구 비중은 13% 증가해 농촌의 고령화가 심화되고 있음을 걱정했다.

 

우리시는 19,700ha에 매년 111,800여 톤의 쌀을 생산하는 전국 최대 쌀 생산지인데, 그 명맥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현재 농사를 짓는 70~80대의 고령 농의 뒤를 이어갈 당진형 청년 후계농업인에 대한 정책 발굴이 필요함을 피력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지난해 3~5월 영농 경력 10년 미만 농업인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농업 시작 단계에서 영농기술 습득, 경영자금 확보, 농지 확보 등의 순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했다.

 

우리시 역시 2018년부터 매년 만 18세 이상 ~ 40세 미만의 청년 창업농과 만 18세 이상 ~ 50세 미만의 후계 농업경영인을 선발해 현재 82명을 포함한 총 264명의 청년 후계농업인에게 영농정착지원금, 소득 기반 구축을 위한 시설지원, 영농 정착 기술지원, 교육지원 등 8개 사업에 총 108,800만 원의 예산이 투입되고 있으나, 농지 지원 정책은 미비한 수준이라 꼬집으며 정책제언을 했다.

 

첫째, 청년 후계농업인의 정착을 확대하기 위해 핵심 농업 자산인 농지에 대한 지원책 마련

 

둘째, 경영 이양을 위한 공식화 절차 수립

 

셋째, 영농정착지원금 사업과 연계한 사후관리 사업 추진

 

 

 

김명진 의원은 당진형 청년 후계농업인 육성을 위한 지원은 곧 당진 농업의 내일을 위한 투자라며 본 의원의 정책 제안을 바탕으로 집행부의 현실적인 정책을 기대한다고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했다.

 



당진시의회, 김명진 의원 5분 자유발언

당진시의회, 김명진 의원 5분 자유발언

당진시의회, 김명진 의원 5분 자유발언


전체 1,011, 32/10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