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당진시의회 DANGJIN CITY COUNCIL

×

당진시의회 DANGJIN CITY COUNCIL

  • 전체메뉴
  • 외부링크
  • 검색
  • 검색
  • 사이트맵
  • 유튜브
  • 인스타그램
  • 블로그
  • 페이스북
  • 글자를 크게
  • 글자를 보통으로
  • 글자를 작게

맨위로 이동


시민을 섬기고 일하며 책임지는 의회

> 의정활동 > 보도자료

당진시의회 김명진 의원, "축산 분뇨 문제 적극 해결해야"

  • 프린터
  • 이전으로
  • 공유하기

보도자료

질문과답변 |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첨부파일, 본문
당진시의회 김명진 의원, "축산 분뇨 문제 적극 해결해야" 당진시의회 2023-04-26 조회수 580

 

마을 단위별 축산 분뇨 처리시설 구축 등 축산 분뇨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당진시의회 김명진 의원은 24일 제101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오랜 시간 주민 갈등을 유발하고 있는 당진시 축분 문제의 해결 방안을 함께 고민하고,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지난해 연말 기준, 당진 관내에는 123곳의 양돈농가에서 303천 두를 사육하고, 915곳의 한육우 농가에서 29천두, 123곳의 젖소 농가에서 1900, 106곳의 양계농가에서 546만 두를 사육하고 있다. 이들 농가에서 발생하는 가축 분뇨량은 하루 평균 25백여 톤에 달한다.

 

김 의원은 우리 시에서는 가축 분뇨 공공 처리시설, 자원화시설 각 1개소에서 하루 평균 전체 분뇨량의 18%, 농가 자체 처리시설에서 60%를 처리하고, 나머지 22%는 확인 및 처리가 안 되는 것으로 집계됐다

 

당진시에서 현재 425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추진하고 있는 통합 바이오가스화 시설이 준공되면 1200톤의 축분을 처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 미확인 및 미처리되는 22%에 해당하는 560톤의 일부는 해결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문제는 미확인, 미처리되는 축분뿐만 아니라 농가 자체 처리시설에서 처리하고 있는 60%의 축분량이다라고 지적하고 농가 자체 처리시설에서 폭기, 환기, 퇴비화 등의 축분 처리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고 있고, 지난 5년간 관련 민원만 740건 이상 접수됐다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축분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 충남 홍성의 원천마을 사례를 주목해 볼 만하다, 가축 분뇨 에너지화 사업을 통해 환경 문제 해결과 주민소득 증대 효과를 누리고 있는 성공 사례를 설명하고 마을 단위 축산 분뇨 처리시설 구축을 제안했다.

 

이어 공공처리시설을 증설해 당진시가 직접 운영·관리할 것 축분 처리 비용 일부를 시에서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을 함께 제안하면서 축분 문제 해결은 농가를 보호하고 민원 발생을 줄이는 지름길이자, 지속가능한 농업 발전과 지역사회의 환경 문제를 풀어가는 해결책이다라고 강조했다.



당진시의회 김명진 의원,


전체 1,011, 30/10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