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당진시의회 DANGJIN CITY COUNCIL

×

당진시의회 DANGJIN CITY COUNCIL

  • 전체메뉴
  • 외부링크
  • 검색
  • 검색
  • 사이트맵
  • 유튜브
  • 인스타그램
  • 블로그
  • 페이스북
  • 글자를 크게
  • 글자를 보통으로
  • 글자를 작게

맨위로 이동


시민을 섬기고 일하며 책임지는 의회

> 의정활동 > 보도자료

당진시의회 전재숙 의원, 미세플라스틱 저감 대책 마련 촉구

  • 프린터
  • 이전으로
  • 공유하기

보도자료

질문과답변 |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첨부파일, 본문
당진시의회 전재숙 의원, 미세플라스틱 저감 대책 마련 촉구 당진시의회 2021-09-15 조회수 240
당진시의회 전재숙 의원이 15일 제86회 당진시의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건강과 환경을 위협하는 미세플라스틱 저감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5분 발언을 가졌다.

  미세플라스틱은 5mm미만의 작은 플라스틱으로 치약 및 화장품처럼 처음부터 미세플라스틱으로 제조되거나 플라스틱 제품이 부서지면서 생성되는데, 치약 등에는 150㎖당 약 280만 개의 미세플라스틱이 함유되어 있다. 

  전 의원은 “해양수산부 발표에 따르면 현재 미세플라스틱 오염도는 당장 큰 문제가 되는 수준은 아니지만 지속적인 플라스틱 사용량의 증가로 2066년도에는 전체 연안의 10% 정도가 무영향 농도를 초과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신종 코로나19 감염병 확산으로 일회용 보건마스크와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며 “전 세계적으로 매달 1,290억 개의 마스크가 사용되는데 마스크는 미세한 플라스틱 섬유로 만들어져 생태계에 큰 악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고 우려했다.

  이어 전 의원은 한 저널의 논문을 인용하여 18세에 이르면 인간의 신체 조직 내에 8,300개의 미세플라스틱 입자가, 70세의 노인이 되어서는 5만개가 넘는 입자가 축척된다고 설명하며, 이때 축적된 미세플라스틱이 복강이나 림프계, 순환계로 흘러 들어가 간, 신장, 뇌 등에 축적되어 산화 스트레스와 염증을 발생시키고 세포 및 DNA의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고 심각성을 경고했다.

  전 의원은 미세플라스틱 저감 대책 마련을 촉구하며, ▲미세플라스틱 발생 원인과 현황에 대한 실태조사 ▲학생과 시민을 대상으로 한 교육과 홍보 ▲미세플라스틱 저감을 위한 재활용 촉진 등을 규정한 조례의 제정을 제안했다.


당진시의회 전재숙 의원, 미세플라스틱 저감 대책 마련 촉구


전체 1,011, 50/102페이지